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안구건조증 증상 및 예방법 생활습관이 중요해~

by 황금북 2017. 9. 24.
반응형

안구건조증 증상 및 예방법 생활습관이 중요해~


건조해지기 시작하는 계절이 되었습니다. 최근 들어 눈이 시리거나 따끔따끔하다는 분을 많이 보게 되는데요. 이맘 때면 눈이 많이 건조해져서 개인적으로 인공눈물약을 꼭 사게 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. 그래서 오늘은 달갑지 않은 가을 손님 '안구건조증'에 대해 알아 보겠습니다. 안구건조증 증상 및 예방법 까지 자세히 적어 볼 텐데, 무엇보다 생활습관이 중요하구나라는 점을 알게 되었겠습니다. 이제부터 인구건조증 시작합니다. ^^




안구건조증 많이 들어봤는데...?
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해 안구 표면에 손상이 와서 이물감이나 시림, 자극 증상을 느끼게 되는 눈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입니다. 이를 건성안 증후군, 눈 마름 증후군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.




안구건조증 증상 ...?
안구건조증 증상은 꼭 눈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 콕콕 쑤시는 증상이 나타나는데요. 이렇다 심해지면 눈물이 줄줄 흐르거나 두통이 생기기도 합니다. 또한 눈을 감고 있으면 편안하지만, 눈을 뜨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보통 입니다. 대표적인 증상들을 적어 볼테니 몇 가지나 해당되는지 확인해 보세요.

- 건조한 곳이나 공기가 탁한 곳에 있으면 눈이 화끈거린다.
- 아침에 일어나면 눈이 뻑뻑하고 충혈돼 있다.
- 시야가 뿌옇게 보이고 통증이 있다.
- 밝은 곳에서 눈을 제대로 뜨기 어렵다.
- 눈꺼풀에 염증이 자주 생긴다.
- 눈의 피로를 자주 느끼며 눈꼽이 남보다 잘 낀다.
- 콘텍트렌즈 착용이 어렵다

- 시력이 떨어졌다.

위 증상 중 2개 이상이면 경미한 정도인고, 3~4개 정도라면 중증, 5개 이상이라면 치료가 필요한 상태이니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으시길 권합니다. 경미하거나 중증 정도라면 병원진료 보다는 일상 생활 속 안구건조증 예방법으로 눈의 건강을 챙겨 보세요. ^^





안구건조증 원인 ...?
안구건조증 원인으로 대표적인 것이 건조한 환경입니다. 밀폐된 사무실은 환기가 잘 되지 않고, 가을이나 겨울이면 난방이 되어 더욱 건조한 환경이 됩니다. 또한, 컴퓨터 모니터, 휴대전화, 태블릿PC 등 우리의 눈은 한시도 쉬지 않고 정보를 보고 있습니다. 무언가에 집중하면 눈의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어 안구가 더욱 마르게 됩니다.



안구건조증 예방법 ...?

- 가습기 등으로 적정 실내 습도를 유지로 눈의 수분을 지켜줍니다. 적정 실내 습도는 30~50%로 유지하도록 합니다.
- 생활 속에서 빛을 발하는 제품들은 대부분 열을 발생하므로 눈의 수분을 마르게 합니다. 이에 TV, 컴퓨터 모니터 등의 밝기 낮춰줍니다. 

- 집중해서 무언가 보다보면 눈을 깜박이지 않게 되는데, 의식적으로 5초에 한 번 이상 눈을 깜빡이도록 합니다. 



- 하루의 5분 정도 눈 주변이나 관자놀이 부위를 가볍게 마사지 하거나, 눈알을 상하좌우로 돌려주면 눈가의 지방층을 만드는 마이봄선이 자극돼 눈물 부족으로 뻑뻑한 안구의 움직임이 부드러워집니다. 단, 눈 마사지시 직접 안구를 압박하지 말고, 눈 주변부를 마사지 합니다. 

- 우리 손에는 세균이 많아서 되도록 세균 가득한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도록 합니다.

- 흡연 또한 눈물량을 감소시키는 건조하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이므로 금연을 권합니다.




오늘은 안구건조증 증상 및 안구건조증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저 같은 경우에는 작업중에 피로를 느낄 때 인공눈물을 넣어주고, 자기전 따뜻한 수건으로 온찜질을 해 줍니다. 온찜짐이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가장 좋은 방법이 되어 숙면에도 도움이 되더라고요.
눈의 소중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 평소 잘 관리해서 건강한 눈 챙기시길 바랍니다. ^^




반응형

댓글